분류 전체보기218 웹 표준에 대한 고찰 먼저 이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웹 표준을 Frontend 카테고리에 넣는게 맞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웹 표준은 직군에 상관없이 웹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입장에서 응당 공부하고 지켜야 할 부분이지만, 이번에 다룰 내용은 굳이 나누자면 프론트의 입장에서 지켜야 할 원칙들을 위주로 작성할 예정이기에 우선 프론트 카테고리에 두고 시작하였습니다. 웹 표준이란 무엇일까 HTML, CSS, Javascript 등 프론트엔드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동아리원들을 대상으로 스터디를 진행하며 리뷰를 하고 있었는데, 한 분이 제출하신 코드 중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라는 코드에 대해 "웹 표준" 을 근거로 들며 다른 방식을 권장한다는 코멘트를 남긴적이 있었습니다. 문득 생각이 들었습니다. 웹 표준이란 정확히 무엇.. 2023. 2. 15. Nest.js에서 로컬 DB 연결하기 사이드 프로젝트로 진행중인 조리복 프로젝트의 본격적인 백엔드 구현이 시작되었습니다. 백엔드에 대한 경험이 없다보니 전체적인 그림을 그릴 능력이 부족해서, 하나씩 직접 부딪혀보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순서가 이상하고 뒤엉켜도 삽질하는 과정이겠거니 하고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난 시간까지는 CRUD 생성기로 기본적인 틀을 가져오고, 실제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몇 가지 진입점만 함께 구현해놓았었습니다. 오늘의 목표는 로컬 DB에 연결시켜서 정상적으로 서버가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로컬 DB 만들기 DB로는 MySQL을 사용하기로 하였습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MySQL Workbench가 있어서 사용하기로 하고, 사전 설정을 완료했습니다. 원래대로라면 로컬 서버를 세팅하고 연결하는 과정을 거쳐.. 2023. 2. 5. Github pages를 이용해 정적 페이지 배포하기 이 글은 "TCP 웹 프론트 스터디" 의 안내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github는 각각의 레포지토리마다 github pages를 통해 정적 페이지를 배포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별도의 라이브러리 없이 간단히 정적 페이지를 배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정적 페이지 준비하기 "TCP 웹 프론트 스터디원"은 이미 준비되어 있는 상태이니 지금 과정은 건너뛰어도 괜찮습니다. 배포를 진행하기 전, 먼저 배포할 정적 페이지가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정적 페이지란 저장된 그대로 사용자에게 내용을 표시하는 말합니다. 흔히 많이 사용하는 리액트를 예시로 들면, 단순히 개발 단계에서 실행시켜 보는 경우에는 우리가 원하는 정적 페이지라고 하기 어렵습니다. 정확히는 정적 페이지를 서빙하고.. 2023. 2. 3. 객체 지향이란 대체 뭘까? 객체 지향은 현대 프로그래밍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패러다임입니다. 몇 십 년 전부터 많은 개발자들은 객체 지향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프로그래밍을 해왔고, 그 흐름이 지금까지 이어져서 하나의 성숙한 패러다임으로 자리를 잡은지 오래입니다. 실제로 적지않은 대학교의 컴퓨터공학 커리큘럼에서도 객체 지향론, 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등의 과목은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나 역사도 깊고 유명한 개념이지만, 막상 "객체 지향이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을 받으면, 쉽게 대답하기 어려운 주제이기도 합니다. 돌이켜보면 우리가 처음 객체 지향다운 코드를 작성한다고 했을 때, 객체 지향의 개념을 먼저 공부하고 실제 문제에 적용해서 만들어내는 것은 나중 일이었습니다. 그보다는 숱하게 참고해왔던, 객체 .. 2023. 1. 25. DTO에 대해 알아보기 이번에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면서 nest로 서버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제대로 해보는 백엔드는 처음인지라 낯선 용어들이 많이 등장해서 이해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번 기회에 잘 모르는 개념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Nest CLI에서는 개발자의 편의를 위해 CRUD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CRUD 생성기를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공식문서의 설명을 빌리자면, nest g resource 명령어를 이용하면 모든 NestJS 빌딩 블록(모듈, 서비스, 컨트롤러 클래스)뿐만 아니라 엔티티 클래스, DTO 클래스 및 테스트( .spec) 파일도 생성합니다. $ nest g resource ${domain} 설명처럼 많은 파일들이 생성되었는데, 그 중 낯선 파일과 용어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DTO입니다. DTO란.. 2023. 1. 21. PR로부터 브랜치 보호하기 이번에 과제를 내주고 깃허브로 제출하는 형식의 스터디를 진행하며 여러 사람들이 사용하는 레포지토리를 관리하게 되었습니다. 함께 코딩을 해서 하나의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원본 형상은 유지하되 과제 결과물만 확인해야하기 때문에 과제 안내 내용과 초기 설정이 담겨있는 main 브랜치는 최대한 보존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제 경우에는 다행히 별도의 브랜치로 제출하도록 안내를 해서 main 브랜치가 수정되는 일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코드 리뷰를 진행하려 했던 의도와는 다르게 구성원들이 Pull Request와 동시에 각자의 브랜치에 Merge를 진행해서 생각했던 리뷰 과정을 진행하지는 못한 문제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지켜야 할 건 main 브랜치 뿐만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사실 이런 부분들이야 제가 정확.. 2023. 1. 1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