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18 우아한테크코스 4기 수료 후기 지난 11월 25일부로 10개월간의 교육 기간이 모두 끝났습니다. 작년 11월부터 진행된 프리코스 기간까지 합하면 딱 1년의 시간동안 이어져와서 그런지 익숙해진 크루들과 헤어지게 되어 아쉽고, 시원하면서 섭섭한 마음이 크게 들었습니다. 한 주가 지났는데도 끝났다는 실감이 들질 않아서 후기 글이 많이 늦어지게 되었네요. 그래도, 이번 후기를 기회로 지난 1년간의 추억들을 되돌아보려고 합니다. 🤝 누군가와 함께 하기 우테코에 와서 가장 큰 수확을 꼽아보자면 바로 찐한 협업 경험을 여러 번 했다는 점입니다. 우테코와 같은 특별한 자리가 없었을 때는 주어진 미션에 100% 집중해서 함께 할 상대를 찾기 어려웠습니다.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할 사람을 찾는다고 해도, 팀원 모두가 이 프로젝트를 최우선 순위로 두고 아.. 2022. 12. 4. Context API 개념 잡기 리액트의 데이터 전달 방식 리액트는 컴포넌트 사이의 데이터를 전달할때 Props라는 이름의 속성을 사용합니다. 이 Props는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 방향으로만 전달되는 특징이 있는데, 이 덕분에 리액트는 단방향 데이터 바인딩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단방향 데이터 바인딩은 데이터의 흐름을 추적하기 쉽고 디버깅이 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점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아래와 같은 경우입니다. 부모 컴포넌트에 있는 데이터가 아래쪽에 있는 컴포넌트에서도 필요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한 번에 전달해 줄 방법이 없고 그 사이에 있는 모든 자식 컴포넌트들을 거쳐서 전달해야합니다. 이런 데이터들이 많아질수록 컴포넌트의 인자들은 각종 Props들로 자연스럽게 두툼해지기 마련이죠. 이렇게 많아진 .. 2022. 11. 22. 우아한테크코스 4기 리크루팅 데이 후기 지난 11월 11일 우아한테크코스 4기의 리크루팅 데이가 열렸습니다. 각종 미션들과 프로젝트가 모두 끝나고 본격적인 취업 준비 시즌이 되었는데, 이번에 진행된 리크루팅 데이 같은 행사도 취업 준비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리크루팅 데이에는 총 20개의 정말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하였습니다. 이름만 들으면 알 만한 대기업부터 하루가 다르게 쑥쑥 성장하고 있는 스타트업까지 있었는데, 그 중에는 우아한테크코스 3기 출신 크루가 창업했던 회사도 있었습니다. 회사 소개도 받고, 선배 기수 크루와의 만남까지 할 수 있어서 개인적으로 기대되었어요. 이건 나중에 알았는데, 해당 행사가 기사로도 쓰여졌었네요. 리크루팅 데이란? 우아한테크코스(신입)와 우아한테크캠프(경력) 수료생들을 대상으로 열린 취업 박람회.. 2022. 11. 13. PR시 미리보기 구현하기 (Github Actions) 여러 개발자가 팀으로 함께 개발을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github를 통해 버전을 관리하게 됩니다. 실제 라이브 프로젝트를 배포하게 되는 main 브랜치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보통 이 main 브랜치에서 파생하여 개발용 버전을 관리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develop 브랜치를 두고 여기서 파생된 각 기능별 브랜치에서 실제 개발을 진행한뒤, 이를 develop 브랜치로 병합하여 관리합니다. 여기에 hotfix와 같은 기타 브랜치들이 더 추가되기도 하지만 우선 큰 줄기는 이렇습니다. 이렇게 브랜치를 관리하는것 만으로도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그림을 파악하기에 좋지만, 아직은 몇 가지 문제가 남아있습니다. 예를 들어, 협업자의 코드를 볼 수는 있으나 그 결과를 눈으로 확인하려면 해당 브랜치로 이동하여 코드를 pu.. 2022. 11. 9. Recoil + React-query 삽질기 이 글은 모두 모여라 기술 블로그에도 업로드 되었습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스프린트가 마무리 되고, 본격적인 유지보수와 리팩토링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시간적인 여유가 생겨 사용되고 있는 기술 스택들을 깊게 공부해보며 발견했는데 현재 사용중인 라이브러리들 중 라이브러리가 추구하는 방향 또는 기능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발견하였습니다. 무엇인가 이상한 점을 느껴 전체적인 데이터 관리 플로우를 점검해보았는데, 나름 잘 사용하고 있었다는 초기의 생각과는 달리 데이터 관리의 일관성이 무너진 상태였습니다. 저희 팀이 처음보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며 어떤 착각을 했었는지, 그 실패의 경험을 글로 옮겨보려합니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문제가 되는 라이브러리는 프로젝트의 상태 관리를 담당하는 recoil과 통신.. 2022. 10. 28. 모임 서비스를 개발하며 (모두 모여라 개발기) 2022 . 06 . 22 ~ 2022 . 10 . 22 우아한테크코스 레벨 3 ~ 4에 거쳐 진행된 팀 프로젝트가 21일 데모데이를 끝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제가 참여한 팀에서는 "모두 모여라"라는 모임 생성 & 참여 서비스를 개발하게 되었는데, 지난 네 달간의 개발 과정을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팀 규칙 정하기 모두 모여라(이하 모모) 팀은 백엔드 크루 4명과 프론트엔드 크루 2명, 총 6명으로 구성된 팀입니다. 여러 명이 함께 개발을 해야하다보니 앞으로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일관성 있는 규칙이 필요했습니다. 간단한 시간 약속부터 회의나 코드 리뷰 방식까지 공통적인 팀 규칙을 정하고, 각 분야별로 구체적으로 필요한 규칙이 있으면 정하였습니다. 정했던 규칙들 중 4번 나만 알지 않기, 나.. 2022. 10. 23.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7 다음